"2차전지주 겨울 끝나간다…점진적 매수 대응 유효" [종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기차 지원 정책 다시 강화 가능성"
"테슬라 판매 부진 원인 해소 수순"
"테슬라 판매 부진 원인 해소 수순"
2차전지주 주가의 추세 전환 가능성을 점치는 증권가 전망이 나왔다. 전기차 지원을 축소하던 각국의 정책 방향이 전환될 조짐이 보이고, 전기차 상위 업체인 테슬라 판매량 부진의 이유가 완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철중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25일 ‘겨울이 끝나가는 신호들’이라는 제목의 2차전지 산업 리포트를 내고 “9월에 들어선 후 2차전지 섹터의 추세 전환 변수들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기에 섹터의 점진적 매수 대응이 유효할 것”이란 판단을 내놨다.
2차전지 섹터의 추세 전환의 함수인 △전기차 산업 지원 정책 △테슬라와 BYD 등 상위 전기차 업체의 상황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세계에서 가장 큰 자동차 시장인 미국의 경우 오는 11월 대선에서 친환경 산업에 우호적인 민주당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유리해지고 있다고 김 연구원은 판단했다. 또 유럽 지역에서는 극단적인 자동차 산업 위기를 탈피하기 위한 전기차 보조금 재개가 논의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전기차 지원 축소와 함께 2차전지주 주가를 짓누른 요인인 미 전기차 기업 테슬라의 판매 부진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테슬라 판매 부진의 원인으로 김 연구원은 모델 노후화와 높은 금리를 꼽았는데, 두 요인이 모두 해소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테슬라는 모델3의 풀체인지버전을 출시했으며, 모델Y의 풀체인지 버전도 곧 출시할 예정이다. 픽업트럭 모델인 사이버트럭 판매도 개시했다. 또 미국 중앙은행(Fed)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내리는 ‘빅컷’을 단행했고, 추가 인하를 점치는 점도표도 내놨다.
다만 김 연구원은 “(2차전지섹터의 추세적 상승이 나타날지 여부를 판단하기엔) 아직 연말까지 확인해야 할 요소가 많다”며 “또 한국 배터리업체들의 실적 역시 단기적으로 급격한 개선은 제한적인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 같은 이유로 현재는 배터리 셀 제조업체 중심의 투자 전략을 권고했다. 김 연구원은 “(셀 제조업체들은) 단기 업황 부진에도 고객사로의 최저 물량 보상금을 확보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분기 실적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10월 중 섹터 추세 전환의 변수가 강해질 경우에는 △각 소재별 상위 업체 △3분기 대비 4분기에 유의미한 출하량 증가가 예상되는 밸류체인 등으로의 포트폴리오 확대하라는 중기 전략도 제시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김철중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25일 ‘겨울이 끝나가는 신호들’이라는 제목의 2차전지 산업 리포트를 내고 “9월에 들어선 후 2차전지 섹터의 추세 전환 변수들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기에 섹터의 점진적 매수 대응이 유효할 것”이란 판단을 내놨다.
2차전지 섹터의 추세 전환의 함수인 △전기차 산업 지원 정책 △테슬라와 BYD 등 상위 전기차 업체의 상황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세계에서 가장 큰 자동차 시장인 미국의 경우 오는 11월 대선에서 친환경 산업에 우호적인 민주당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유리해지고 있다고 김 연구원은 판단했다. 또 유럽 지역에서는 극단적인 자동차 산업 위기를 탈피하기 위한 전기차 보조금 재개가 논의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전기차 지원 축소와 함께 2차전지주 주가를 짓누른 요인인 미 전기차 기업 테슬라의 판매 부진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테슬라 판매 부진의 원인으로 김 연구원은 모델 노후화와 높은 금리를 꼽았는데, 두 요인이 모두 해소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테슬라는 모델3의 풀체인지버전을 출시했으며, 모델Y의 풀체인지 버전도 곧 출시할 예정이다. 픽업트럭 모델인 사이버트럭 판매도 개시했다. 또 미국 중앙은행(Fed)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내리는 ‘빅컷’을 단행했고, 추가 인하를 점치는 점도표도 내놨다.
다만 김 연구원은 “(2차전지섹터의 추세적 상승이 나타날지 여부를 판단하기엔) 아직 연말까지 확인해야 할 요소가 많다”며 “또 한국 배터리업체들의 실적 역시 단기적으로 급격한 개선은 제한적인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 같은 이유로 현재는 배터리 셀 제조업체 중심의 투자 전략을 권고했다. 김 연구원은 “(셀 제조업체들은) 단기 업황 부진에도 고객사로의 최저 물량 보상금을 확보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분기 실적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10월 중 섹터 추세 전환의 변수가 강해질 경우에는 △각 소재별 상위 업체 △3분기 대비 4분기에 유의미한 출하량 증가가 예상되는 밸류체인 등으로의 포트폴리오 확대하라는 중기 전략도 제시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