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이 산처럼 쌓였어요"…명절 끝나자 '야근 지옥'에 빠진 곳 [현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휴 끝난 재활용선별장 가보니
처리 못한 쓰레기 산적·직원 퇴근 못해
"명절 식문화 과해…의식 개선 필요"
"과대 포장 규제뿐 아니라 소재 단순화 필요"
처리 못한 쓰레기 산적·직원 퇴근 못해
"명절 식문화 과해…의식 개선 필요"
"과대 포장 규제뿐 아니라 소재 단순화 필요"

24일 오후 경기 성남시 분당구 재활용선별장. 성남시에서 발생하는 재활용 쓰레기가 모두 모이는 곳이다. 현장에서 만난 관계자는 "어제도 저녁 8시까지 야근했다"고 푸념했다. 명절 전후로 2~3주 동안은 쓰레기 발생량이 폭증해, 전 직원이 업무에 매진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전국 각지의 재활용선별장이 연중 가장 바쁜 시기로 꼽는 시기는 매년 설, 추석 연휴 이후 2~3주다. 명절 선물 포장재 등으로 쓰레기가 폭증해서다. 실제로 연휴 기간 발생하는 쓰레기도 증가하는 추세다. 환경부의 '추석 연휴 쓰레기 발생 현황'에 따르면 2019년 11만8412t(톤)이었던 전국의 추석 연휴 쓰레기는 지난해 19만8117톤으로 5년 사이 67% 증가했다.
"명절 후 3주는 무조건 야근"

명절 이후 눈에 띄게 늘어나는 쓰레기는 스티로폼이다. 김영호 재활용선별장 운영소장은 "추석 연휴 전후로 2주 동안 스티로폼 수거량이 평상시의 10배가량으로 늘어난다"며 "하루 최대 처리물량이 4톤이라 명절이 지나면 스티로폼 압축기 앞으로 '스티로폼 산'이 생긴다"고 설명했다.
스티로폼의 경우 선별장에서 50분의 1 부피로 압축된다. 이후 가공 업체가 수거해 스티로폼 원료로 재활용한다. 다만 음식물이 묻어 있는 쓰레기는 재활용되지 못한다. 관계자는 "선별장에 들어오는 쓰레기 중 15%가량은 일반폐기물로 분류돼 소각 처리된다"고 전했다. 테이프나 송장, 음식물, 아이스팩 등이 그대로 담긴 채 들어오는 폐기물도 많아 재활용이 어렵고, 스티로폼 외에도 빨대 등 자잘한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어렵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50여명의 선별장 직원들은 명절 연휴도 이틀밖에 쉬지 못했다. 당분간 전 직원이 주 6일, 52시간 법정 근무 시간을 꽉 채우고, 외부 인력의 도움까지 받아야 쓰레기를 감당할 수 있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명절 쓰레기 줄어들지 않는 이유

박 교수는 "생활 양식과 수준이 달라졌는데도 식문화만 수십 년째 그대로"라며 "과대 포장 규제도 필요하지만 명절 식문화 자체를 간소화하려는 의식적인 노력도 수반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실제 한국환경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설날 및 추석 명절 기간 전국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양은 평소보다 20%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소재의 단순화가 이뤄지면 재활용률을 높이는 데 도움 될 것이라고도 제언했다. 김 운영소장은 "쓰레기가 재활용되려면 소재별로 분류하는 작업이 가장 중요하다"며 "예컨대 플라스틱의 경우 페트(PET), PP, PE, ABS 등으로 선별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이러한 플라스틱 소재가 너무 다양해 재활용 측면에서 번거로운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