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I 한주간 4.76% 급등…2월 이후 최대 주간 상승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 금리인하로 원유 수요 증가 기대감
미국, 중동 지역서는 공급 차질 빚어져
미국, 중동 지역서는 공급 차질 빚어져

2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0월물 서부텍사스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0.03달러(0.04%) 하락한 배럴당 71.9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11월 인도분 가격은 전날 대비 0.39달러(0.52%) 내린 배럴당 74.49달러에 마감했다.
WTI 가격은 지난 주 4.76% 급등했다. 지난 2월3~9일 주간 이후 최대 상승률이다. 2주간 상승률은 6.28%에 달했다.

팀 스나이더 마타도어이코노믹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Fed의 금리인하와 허리케인 '프랜신'의 여파가 현재 시장을 지탱하는 유일한 두 가지 요인"이라며 "향후 기준금리가 추가로 0.5~0.75%포인트 더 내려갈 것이라는 생각은 경제가 어느 정도 안정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했다"고 말했다. Fed는 올해 말까지 0.5%포인트, 내년 1%포인트, 2026년 0.5%포인트 추가 기준금리 인하를 계획하고 있다.

미국에서도 자연재해로 생산 차질이 빚어졌다. 전날 미국 안전환경집행국(BSEE)은 허리케인 프란신의 여파로 멕시코만 원유 생산의 약 6%, 천연가스 생산의 10%가 중단됐다고 밝혔다. 지난주 미국 원유 재고가 1년 만에 최저치로 감소한 것도 유가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 요인으로 작용했다.
글로벌 원유 수요 감소로 유가가 상승세를 이어가진 못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레베카 바빈 CIBC프라이빗웰스 수석 에너지트레이더는 "중국의 수요 전망과 내년 공급 균형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Fed가 기준금리를 대폭 인하한 배경에 고용 둔화가 있었던 만큼 미국 노동시장이 더 악화하면 원유 수요도 감소할 수 있다.
임다연 기자 all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