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PRO] AI전력인프라 ETF 집중분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I전력인프라ETF 상장러시
구성 종목에 따른 ETF 차별화
AI 데이터센터의 전력수요가 급증하면서 전력 부족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ETF 상품도 AI테크에서 AI전력인프라로 밸류체인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이번 달에만 ‘KODEX AI전력핵심설비’,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KoAct AI인프라액티브’ 그리고 ‘SOL 미국AI전력인프라’ 4개의 ETF가 상장되었다. AI 관련 ETF 들은 대부분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력인프라 ETF는 산업재와 유틸리티 업종의 종목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AI 주식 ETF 투자자들이 기술주(테크) 외의 업종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장된 AI전력인프라 ETF를 살펴보면 한국 주식에 투자하는 ‘KODEX AI전력핵심설비’, ‘KoAct AI인프라액티브’ 그리고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SOL 미국AI전력인프라’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ETF의 포트폴리오는 원자력 발전을 기반으로 한 전력 생산기업인 Constellation Energy(CEG)와 데이터센터 서버 냉각 솔루션 제공 기업인 Vertiv Holdings(VRT)가 대표 종목이다.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는 전력인프라 관련 종목 10개에 압축 투자한다. 앞에 언급한 두 종목 외의 상위 종목으로는 데이터센터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를 공급하는 Arista networks와 전력 설비 및 부품을 제조하는 Eaton Corporation 그리고 공조, 냉각 설비 업체 Trane Technologies 등을 포함하고 있다.
‘SOL 미국AI전력인프라’는 전력인프라 10종목과 원자력 10종목을 함께 투자한다. 전력인프라는 Vertiv Holdings를 필두로 EATON Corporation과 기업분할 후 주목받고 있는 GE Vernova,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Nextera Energy 등이 포함되고, 원자력에는 Contellation외에 소형원자로(SMR)로 주목받는 NuScale Power와 오픈AI 샘 알트먼의 투자로 알려진 Oklo 등이 포함된다.


신성호 연구위원 shsh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