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PRO] 원자력 ETF 집중분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원자력 ETF 연초 이후 49.8% 상승
차세대 원자력 소형원자로(SMR)
인공지능(AI)의 수요가 증가하며 데이터센터의 전력 부족 문제가 시장의 관심이다. 탄소중립이라는 큰 방향 가운데 원자력 에너지가 대안으로 조명받고 있다. ‘테라파워’, ‘오클로’ 등 차세대 원자력 발전으로 주목받고 있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에 투자한 마이크로소프트 빌 게이츠와 오픈AI CEO 샘 올트먼 등 실리콘밸리 거물들의 행보도 과감하다.
국내에 상장된 원자력 ETF는 ‘KBSTAR 글로벌원자력iSelect’, ‘ACE 원자력테마딥서치’, ‘HANARO 원자력iSelect’, 세 종목이 있다. ACE와 HANARO는 국내 주식형 ETF인데 상위 5종목 중에는 HD현대일렉트릭, LS ELECTRIC의 비중이 크다. 미국 전력 인프라 장비 수출로 높은 상승률을 보인 전력기기 관련 종목이 포트폴리오의 20% 수준을 차지하고 있어 원자력과 전력인프라 테마를 모두 포함하는 포트폴리오라고 볼 수 있다.
세부 종목들을 살펴보면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전력, 한전KPS, 한전기술, 우진 그리고 대형 건설사로 이른바 원자력 수출 ‘팀 코리아’로 일컬어지는 종목들에 투자한다. 두 ETF의 포트폴리오는 약 43%가 중복되어 있지만 HANARO가 20개 종목으로 ACE 25개 종목보다는 압축되어 있다.
KBSTAR ETF는 국내를 포함한 글로벌 원자력 주식에 투자한다. 상위 종목들을 보면 원자력 발전의 비중이 높은 발전 및 전력 판매기업 Constellation Energy 26.14%, 원자력의 원료인 우라늄 광산 및 생산 기업 Cameco 20.76% 그리고 두산에너빌리티 11.58% 순이다.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인 Nuscale Power 1.7%를 담고 있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지난 1월 상장된 ‘NUKZ(Range Nuclear Renaissance Index ETF)’의 경우 최근 트렌드가 반영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소형모듈원자로 기업으로 두산에너빌리티와도 협업 중인 Nuscale Power 3.1% 그리고 대주주인 미국 건설회사 Flour 2.4%, 오픈AI 샘 알트먼이 투자하였고 지난 5월 스펙(SPAC) 상장한 오클로(OKLO) 2.4%를 포함한다. 또 4월 기업분할 후 재상장으로 이슈가 되었던 GE Vernova 0.6%와 GE Aerospace 2.6%를 포함하고 있다. 업종 구성도 광산은 15% 수준이고 유틸리티 30.7%와 제조업종 20.3% 등으로 원자력을 중심으로 한 인프라 업종으로 분산투자가 잘 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NUKZ ETF의 정식 명칭(Range Nuclear Renaissance Index ETF)처럼 2008년 금융위기 전 시장의 성장 테마였던 ‘원자력 르네상스’가 다시 추세상승을 이끌어 낼지 꾸준한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성호 연구위원 shsh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