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비디아’ MS도 제치나…4개월 만에 시총 3조 달러 뚫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전날보다 5.16% 오른 1224.40달러를 기록했다. 이로써 시총이 3조110억 달러로 불어나며 3조 달러 고지를 넘어섰다. 시총 3조 달러 돌파는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이어 역대 세 번째다.
생성 AI 최대 수혜주인 엔비디아는 이날 시총 3조 달러에 진입하면서 애플을 제치고 시총 2위 자리도 꿰찼다. 애플은 오는 10일 세계 개발자 회의(WWDC)를 앞두고 6개월 만에 시총 3조달러(3조30억달러)를 회복했지만, 엔비디아의 질주에 2위 자리를 줬다. 엔비디아는 2위 자리에서 곧바로 1위인 MS를 주시하고 있다. 시총 1위인 MS(3조1510억 달러)와의 격차는 1400억 달러다.

최근 주가 상승은 오는 10일 10분의 1 액면 분할을 앞두고 투자자들의 매수 행렬이 몰리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최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테크 엑스포 ‘컴퓨텍스 2024’를 맞아 세계 최초로 공개한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 ‘루빈’이 주가를 밀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3월 연례 개발자 회의인 ‘GTC 2024’에서 컴퓨팅 성능을 2배 이상 끌어올린 차세대 GPU ‘블랙웰’을 공개한 데 이어 3개월 만에 그다음 세대 GPU까지 공개하며 AI 칩 분야 초격자 벌리기에 나선 것이다.

전문가 중에선 엔비디아 시총 10조달러를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미국의 경제지 포천은 엔비디아 시총이 10조달러(1경3850조원)를 돌파할 것이라고 최근 보도했다. 포천은 IO펀드의 분석가 베스 킨디그의 전망을 인용해 “AI 시장의 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것”이라며 “AI 시장의 리더인 엔비디아가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PwC는 2030년까지 전체 AI 시장 규모가 18조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보고 있다.
실리콘밸리=최진석 특파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