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전망대] 소비자물가 하락세 이어지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좌동욱 경제부 차장
통계청은 4일 ‘5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발표한다. 물가 안정세가 확인될 경우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커질 수 있어 시장이 주목하고 있다. 올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2.8%에서 2월과 3월 3%대(3.1%)로 올랐다가 4월에 다시 2.9%로 내려왔다. 정부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월 정점에 이르렀다가 4월에 이어 5월에도 더디지만 하락세를 보일 것(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라고 설명해왔다. 한국은행은 하반기 물가상승률이 한은 전망(2.4%)대로 흘러가면 기준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어 2~3분기 물가 지표가 중앙은행 통화정책의 핵심 변수가 되고 있다.
한은은 오는 5일 ‘1분기 국민소득(잠정)’ 통계를 공개한다. 4월 공개된 속보치에선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시장 예상(0.6% 안팎)을 크게 웃돈 1.3%를 나타내면서 내수가 살아나고 있다는 분석이 조심스럽게 고개를 들었다. 하지만 이후 발표된 4월과 5월 산업활동동향 지표는 GDP 통계와 달리 내수 회복 속도가 더딘 것으로 나왔다. 이에 따라 1분기 말 상황을 제대로 반영한 1분기 GDP 증가율 잠정치는 속보치보다 하향 조정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한은은 이날 국민계정 기준년 개편 결과도 공개한다. 경제 구조 변화 등을 반영해 5년 주기로 통계 기초 자료와 추론 방식 등을 바꾸는데, 이번 개편에서 국내 산업과 소비 구조의 변화 등이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이번주 초 기재부 주도로 ‘기업 성장사다리 대책’을 발표한다. 중소기업의 중견기업 성장을 뒷받침하고 경제의 역동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총망라할 전망이다. 중견기업이 되고 나서도 중소기업 대상 조세 특례를 적용하는 ‘졸업 유예’ 기간을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늘리는 등의 지원 방안이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 활력을 살리기 위해 상속·증여세를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경제계 요청이 어느 정도 받아들여질지도 관전 포인트다.
최저임금위원회는 4일 2차 전원회의를 연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안에 대한 논의가 이번 회의부터 본격화하는데, 노동계와 경영계가 제시할 최초 인상안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올해 최저임금은 시간당 9860원으로, 140원(1.4%)만 올라도 내년도 최저임금이 1만원을 넘어선다. 노동계는 실질임금이 뒷걸음치고 있는 상황 등을 고려해 대대적인 인상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영계는 고금리 고환율 여파로 중소기업들의 체력이 약화됐다며 동결 또는 동결에 준하는 수준의 인상을 희망하고 있다.
한은은 오는 5일 ‘1분기 국민소득(잠정)’ 통계를 공개한다. 4월 공개된 속보치에선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시장 예상(0.6% 안팎)을 크게 웃돈 1.3%를 나타내면서 내수가 살아나고 있다는 분석이 조심스럽게 고개를 들었다. 하지만 이후 발표된 4월과 5월 산업활동동향 지표는 GDP 통계와 달리 내수 회복 속도가 더딘 것으로 나왔다. 이에 따라 1분기 말 상황을 제대로 반영한 1분기 GDP 증가율 잠정치는 속보치보다 하향 조정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한은은 이날 국민계정 기준년 개편 결과도 공개한다. 경제 구조 변화 등을 반영해 5년 주기로 통계 기초 자료와 추론 방식 등을 바꾸는데, 이번 개편에서 국내 산업과 소비 구조의 변화 등이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이번주 초 기재부 주도로 ‘기업 성장사다리 대책’을 발표한다. 중소기업의 중견기업 성장을 뒷받침하고 경제의 역동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총망라할 전망이다. 중견기업이 되고 나서도 중소기업 대상 조세 특례를 적용하는 ‘졸업 유예’ 기간을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늘리는 등의 지원 방안이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 활력을 살리기 위해 상속·증여세를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경제계 요청이 어느 정도 받아들여질지도 관전 포인트다.
최저임금위원회는 4일 2차 전원회의를 연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안에 대한 논의가 이번 회의부터 본격화하는데, 노동계와 경영계가 제시할 최초 인상안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올해 최저임금은 시간당 9860원으로, 140원(1.4%)만 올라도 내년도 최저임금이 1만원을 넘어선다. 노동계는 실질임금이 뒷걸음치고 있는 상황 등을 고려해 대대적인 인상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영계는 고금리 고환율 여파로 중소기업들의 체력이 약화됐다며 동결 또는 동결에 준하는 수준의 인상을 희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