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최대 규모 방위산업 전시회 ‘서울 아덱스(ADEX) 2023’에선 미래전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다양한 최신 무기와 콘셉트 모델이 전시됐다. 이번 전시회에선 내년 우리 군이 발사할 예정인 정찰위성의 모형이 처음 공개됐다. 또 올 11월 시험발사가 예정된 '초소형 정찰위성'의 모델도 공개돼 우주전이 머지않았음을 예고했다.

한화시스템 "연말 SAR 정찰위성 발사할 것"
한화시스템은 전시장 내 '스페이스 허브존'에서 전자광학(EO)·적외선(IR)·영상레이더(SAR) 등 정찰위성 3종을 선보였다. 한화시스템은 국내에서 처음 지상 1m 사물을 볼 수 있는 성능의 초소형 SAR 위성 국산화에 성공했다. 현재 0.5m급 해상도의 SAR 위성을 개발하고 있다.

현장에 전시된 SAR 위성은 일반 위성과 달리, 탑재체와 태양 전지판이 하나로 합쳐져 얇은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발사체 내에 많은 수의 위성을 싣기 위한 디자인이다. 한화시스템은 이 위성을 발사체에 실어 올해 시험(검증) 발사할 계획이다. 한화 관계자는 "국방과학연구소(ADD)와 초소형 위성 체계개발 사업을 맺고, 성능 테스트를 위한 검증 위성을 쏠 계획"이라며 "타사(한국항공우주산업·KAI)와 경쟁을 통해 양산할 위성이 최종 선택된다"고 설명했다.
EO·IR 등 초소형 정찰위성은 우리 군이 대형 정찰위성 5기를 오는 2022~2024년 도입하는 425 사업의 후속 사업이다. 425 사업을 통해 SAR 위성 4기와 전자광학 위성 1기를 올리지만, 위성 정찰 주기가 2시간에 달해 북한을 감시할 수 없는 공백시간이 문제가 됐다. 이 시간을 메꾸기 위해 수십여 개의 초소형 위성을 추가로 띄우는 셈이다.

수소연료 드론 상용화 눈앞…"車 연료탱크 사용 가능"
이번 전시회에서 수소연료전지를 사용한 무인기·드론을 선보인 기업이 많은 점도 두드러졌다. 기아는 수소연료전지를 쓰는 대형 군용 드론 모형(콘셉트)을 처음 공개했다. 이 모형은 기존 배터리를 기반으로 한 일반적 도심항공교통(UAM) 기체와 달리, 배터리와 수소연료전지를 동시에 이용해 먼 거리를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함께 전시된 'KCD-40'은 내연기관과 배터리를 함께 이용해 동력을 얻는 하이브리드 엔진 시스템을 사용하는 드론이다. 최대 40㎏의 물건을 싣고 한 시간 동안 비행할 수 있다.
적 드론을 요격하는 '대드론 체계'도 공개됐다. 현대위아의 '안티드론 시스템'은 실제 모델이 전시회에서 처음 공개됐다. 이 모델은 소형전술 차에 안티드론 시스템(ADS)을 탑재하는 방식으로 개발한 제품이다. 레이더 및 EO·IR로 적 무인기를 탐지하고 인공지능(AI) 기술로 실시간 정밀 위치추적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GPS 및 조종 주파수 대역에 대한 재밍(소프트킬)과 원격 사격 무기 통제체계(RCWS)를 사용한 40mm 공중폭발탄(하드 킬)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미래 'K3' 탱크 모델 공개…無人 운용도 가능
이번 전시회는 과거에 비해 '신무기' 공개가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다. 하지만 'K3' 차세대 탱크 등 미래형 컨셉트 무기가 비교적 상세히 전시돼 밀리터리 마니아들의 관심을 모았다. 현대로템이 선보인 차세대 전차는 2030년대 전력화될 우리 육군의 차기 주력 전차다.

레드백과 비슷한 형태와 기능을 갖춘 것은 현재 육군이 주력으로 운용하는 K-21 보병전투장갑차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해야 할 필요성 때문이다. K-21 장갑차는 물 위에 떠 도하할 수 있는 능력도 있지만, 무게를 줄이려다 보니 방어 능력이 상당히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반면 레드백은 적 대전차미사일·로켓을 직접 요격하는 ‘아이언 피스트’ APS 등을 갖춰 방어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다.
성남=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